【코코타임즈】 강아지 목을 목줄로 당기거나 격렬한 놀이 중, 강아지가 ‘꺽-꺽-‘거리는 소리를 낸다면 기관 허탈을 의심해보고 적절한 검사와 치료를 통해서 꾸준히 관리해줘야 한다. 자칫 호흡 곤란으로 생명을 앗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 개도 기관 허탈일까? 기관 허탈은 기관 연골이 납작해지고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해서 거위 울음소리처럼 ‘꺽꺽‘ 혹은 ‘커헉 커헉’거리는 증상을 말한다. 조금만 흥분을 하거나 목줄을 살짝만 당겨도, 혹은 아무 이유 없이 거위 울음과 같은 소리를 낸다면 기관 허탈을 의심하고 적절한 검사와 치료,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기관 허탈? 기관 협착? 많은 사람이 기관 허탈과 기관 협착을 헛갈려 하는데, 협착은 상태를 말한다. 앞서 설명한 증상의 옳은 표현은 ‘기관 허탈’이다. 사망에 이르는 기관 허탈, 원인 알고 관리해야 기관 연골이 무너지는 주된 원인은 몇 가지로 추릴 수 있다. 크게는 선천적 원인인 품종 소인과 후천적 원인인 노령, 비만이 있다. 품종 소인으로 기관 허탈 발병률이 높은 개 중에는 요크셔 테리어, 몰티즈, 포메라니안, 푸들 등이 있다. 특히 요크셔 테리어 중 70%는 기관 허탈에 시달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확한
【코코타임즈】 비만의 사전적 정의는 체지방이 체내에 과다하게 축적된 상태를 이른다. 하지만 비만은 단순히 과체중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이차적인 문제가 심각하기 때문에 수명을 단축시키는 사례가 적지 않다. 비만 자체를 질병으로 보는 입장도 적지 않다. 비만으로 인해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는 두 가지 상황을 살펴보자. 디스크 영향으로 급사하기도 비만은 관절에 악영향을 미친다. 비만으로 인한 대표적인 근골격계 질환 중 하나는 디스크이다. 디스크는 통증이나 보행 이상만을 유발하지 않는다. 드물게는 디스크 연골이 터져 척수 신경에 손상을 입히는데, 척수 신경이 녹는 '척수 신경 연화증'으로 사망할 수 있다. 기관 허탈, 호흡곤란 유발해 비만한 개는 '기관 허탈' 발생률이 높아 주의가 필요하다. 기관 허탈이 생긴 개는 거위처럼 '컥-컥-'거리는 소리를 내는 것이 특징이다. 이런 소리는 내는 이유는 호흡이 원활하지 못해서다. 기관은 호스처럼 생긴 공기 통로를 말한다. 로얄동물메디컬센터 이기종 원장은 "비만이나 여러 이유로 기관이 좁아지면 공기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데, 증상이 심할 경우 호흡곤란으로 사망에 이를 수 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