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개요] 광견병(狂犬病) 은 동물 중추 신경계(CNS)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성 질병이다. 온혈동물이라면 모두가 걸릴 수 있는 인수(人獸) 공통 전염병. 심지어 사람도 예외는 아닌 만큼, 고양이도 예외가 아니다. 광견병에 감염된 야생동물(너구리. 박쥐 등)이나 개에게 물리면 물린 상처로 바이러스가 침투하면 생길 수 있다. 열이 나고 구토와 경련의 증세를 보이다가 점차 정신장애와 마비 증상, 광증 등이 나타난다. 그리고 과도하게 침을 흘리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광견병은 치명적이다. 한번 발병하면 가장 높은 치사율을 보이는 질병 중의 하나다. [증상] 초기에는 무기력하고 불안해하며, 식욕 부진 등의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 1~3일 정도의 초기 단계가 지나면 점점 난폭해지고 과도한 흥분과 거품이나 침 같은 타액 분비(hypersalivation)도 심해지며 충혈 증상도 보이게 된다. 방향 감각 상실, 발작의 증상도 보일 수 있다. 광견병의 진행이 심해지면 신체의 마비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한다. 물을 삼킬 때 매우 고통스러워한다. 이 때문에 광견병을 '공수병'(恐水病)이라 부르기도 한다. 광견병 진행은 물린 후 한 달가량의 잠복
【코코타임즈】 반려동물 건강을 유지하는 것은 1년 내내 중요하다. 특히 봄철은 밤낮 기온 차가 큰 환절기인 만큼, 고양이도 면역 체계가 약해져 각종 질병에 노출되기 쉬운 때다. 그래서 봄철은 고양이 건강 상태를 점검하기에도 좋은 시기다. 영국 텔레그라프(The Telegraph)에 따르면, 영국 알데버러 동물병원 수의사 브라이언 포크너(Brian Faulkner)는 “봄은 고양이 건강이 변화될 수 있는 시기인 만큼, 정기적인 검진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냥이 감기 주의보 고양이는 원래 조상들이 사막에서 살던 동물. 태생적으로 추위에 약한 것은 그래서다. 그런데 밤낮으로 일교차가 커지면 감기에 잘 걸릴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온도가 내려가는 저녁 시간대에는 실내 온도 조절이 필요하다. 특히 저녁 시간까지 집사 외출이 길어질 경우엔 미리 난방을 예약 모드로 해두면 좋다. 고양이가 쾌적하다 느끼는 실내 온도는 섭씨 22~24도. 햇볕이 잘 드는 곳에 일광욕 하기 좋은 장소를 마련해 두는 것도 좋다. 체온 조절과 살균 효과에 도움이 된다. 또한 난방을 꺼두어 화장실 바닥이 차갑거나 하면 고양이가 소변을 잘 보려 하지 않는다. 냥이의 급성 방광염이 봄에 잘 생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