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고양이를 만진 뒤 두드러기나 눈물, 습진, 가려움증, 콧물, 재채기, 가슴 답답함 등의 증상이 생긴다면 고양이 알레르기를 갖고 있다는 뜻이다. 미국 폐 협회에 따르면, 고양이 알레르기 항원은 천식이나 호흡기 질환을 악화시키는 것은 물론 더 나아가 폐 기능까지 저하시킬 수 있다. 고양이 알레르기는 고양이 타액이나 비듬, 소변에 존재하는 알레르기 항원(단백질) 때문에 발생하는데, 이 물질은 공기 중에 오래 존재하고 침구류 등에 쉽게 달라붙어 있으므로 고양이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반려묘를 키운다면 고양이 털 빗질과 청소를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또한, 알레르기를 앓음에도 불구하고 고양이를 키우고자 한다면 알레르기 유발률이 낮은 품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고양이 알레르기 유발률이 낮은 품종에는 누가 있을까? 데본렉스 데본렉스는 짧고 곱슬곱슬한 털을 가졌다. 털이 잘 빠지지 않는 편이며,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물질이 다른 고양이보다 적다. 스핑크스 스핑크스는 ‘털 없는 고양이’로 유명한데, 사실은 아주 짧고 부드러운 솜털이 존재한다. 고양이는 그루밍(털을 핥고 정리하는 행동) 하는 습성이 있어서 털에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많이 붙어 있는데,
【코코타임즈】 개나 고양이와 함께 있으면 금세 기침, 콧물이 나는 사람이 있다. 알레르기(allergy) 증상 때문이다. 가천대 길병원과 서울대 보라매병원이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반려동물 알레르기 관련 조사를 한 적이 있다. 그랬더니 반려견 중 치와와를 키우는 사람들에게 알레르기 유병률이 가장 높았다. 치와와를 키우는 사람의 40%가 알레르기를 겪었고, 뒤를 이어 요크셔테리어(38.3%) 키우는 이들에게 이런 경향이 높았다. 또 말티즈(30.1%), 푸들(22.8%), 스피츠(20.8%), 시츄(17.6%) 등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들 견종들에게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항원인 '당단백질' 분비량이 많은 것이 핵심 이유로 꼽힌다. 이들 강아지들의 알레르기 유발률 전체 평균은 25.3%. 4마리중 1마리는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는 얘기다. 반면 고양이의 경우는 페르시안이 47.8%로 가장 높은 알레르기 유병률을 보였다. 그 다음으로 터키 앙고라(41.7%), 코리안 숏헤어(38.3%)였다. 고양이들의 전체 평균은 34.8%이다. 3마리 중 1마리가 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반면, 알레르기 유발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개도 있다. AKC(미국애견협회)에 따르면
【코코타임즈】 러시아에서 자연 발생한 품종으로, 역사가 오래된 고양이다. 1천여 년 전 러시아에서 쥐잡이 고양이로 길러왔다. 그래서 시베리안 포레스트 고양이(Siberian Forest Cat)라고도 불린다. 동화에도 자주 등장해 러시아인들에게 매우 친숙한 품종. 시베리안 고양이는 1800년대 후반에는 영국 캣쇼에 소개됐고, 1900년대 후반부터 미국에 전해져 반려묘로 사랑받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시베리안은 사람을 좋아하고 사교적이며 건강하기까지 한 매력적인 고양이다. 생후 5년 정도까지 성장하고 몸집이 큰 편이다. 둥글고 건장한 느낌의 근육질 체형, 튼튼한 네 다리는 활발하고 높은 곳에 뛰어오르기를 좋아한다. 특히 러시아의 혹독한 겨울을 이겨내기 위해 삼중모를 지녔고, 겨울이 되면 털이 무성하게 자란다. 꼬리 또한 풍성하다. 시베리아에서 살아내기에 최적화된 특징을 많이 지녔다. 털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고양이 알레르기를 유발할 가능성은 낮다고 한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은 고양이 몸과 타액에 있는 Fel D1(Feline D1)이라는 항원에 민감하게 반응한다. 그래서 고양이 그루밍이나 털 빠짐으로 인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 것. 그런데 한 연구
【코코타임즈】 오시캣(Ocicat)은 1964년 미국에서 아비시니안과 샤미즈(샴)의 교배 실험을 통해 탄생한 품종이다. 그 후 아메리칸 쇼트헤어와도 교배되어 다양하고 우수한 유전성을 지닌 현재의 오시캣으로 개량되었다. 매력적인 표범 무늬로 유명한 야생 고양이 오셀롯과 닮았다는 이유로 오시캣이라 불리게 됐지만, 오시캣의 성격에서 야행성은 전혀 찾아볼 수 없으며 오히려 보통 고양이보다 더 온순한 편이다. CFA에는 1987년 등록되었다. 아비시니안의 체형을 그대로 물려받았지만 오시캣이 조금 더 크고 단단하며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다. 움직임은 빠르면서도 부드럽고 우아하다. 오시캣 외형의 특징은 무엇보다 야성적 느낌의 강렬한 스포트 무늬이다. 새끼 고양이때는 얼핏 줄무늬 느낌이지만, 자라면서 스포트 무늬로 바뀌며 더욱 매력적인 모습이 된다. 연한 황색이나 은색의 바탕에 표범을 연상시키는 짙고 뚜렷한 스포트 무늬가 일반적이다. 단모종의 가늘고 윤기 나는 털이 온몸을 덮고 있다. 아몬드 모양의 커다란 눈에 짙은 색과 밝은색의 털로 테두리가 있으며 이마에는 M자 무늬가 있다. 오시캣은 들고양이를 닮은 야성적 외모와는 달리 실지 성격은 주인에게 헌신적이고 애교 많은 개
【코코타임즈】 아비시니안(Abyssinian)의 조상은 현재 정확히는 알 수 없지만, 매우 오래된 품종 중 하나이다. 원산지인 아비시니아(현재의 에티오피아)에서 자연 발생한 종이며, 이곳의 지명을 따 붙여진 이름이다. 고대 이집트의 유물과 벽화에서 발견된 고양이 였기 때문에 당시에는 신성시 되는 고양이였을 수도 있다. 자연발생 종이므로 대체로 건강하다. 날씬하면서도 근육이 있는 몸과 탄력이 넘치는 긴 다리는 아비시니안의 건강미를 돋보이게 한다. 아구티 틱킹(agouti : 한 올의 털에 짙고 옅은 색이 번갈아 나타나는 형태 / ticking : 털끝 색이 짙은 것) 형태의 털이 따뜻한 느낌을 주고, 털 색은 다양하다. 점점 성장하면서 털 색이 밝아지기도 한다. 대표적인 털 색으로는 루디(ruddy : 짙은 경우 검은색부터 고동색, 옅은 경우 적갈색부터 황갈색), 소렐(sorrel : 짙은 경우 황갈색부터 적갈색, 옅은 경우 밝은 갈색) 등이 있다. 얼굴에 비해 큰 귀와 이마와 눈 사이 M자 무늬가 특징이다. 부드러운 울음소리를 가진 조용한 고용이지만 얌전하지만은 않다. 장난기와 호기심, 애교가 많으며, 활동적이고 체력이 좋다. 따라
【코코타임즈】 차이니스 리 와우(Chines Li Hua)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고양이 품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여러 고서에 언급 됐을 만큼 수 세기 동안 중국 각지에 존재 했을 것이라 짐작 하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CFA(Cat Fanciers Association)에서 정식 품종으로 인정 받은 건 2003년에 이르러서다. 산 주변을 기점으로 자연스럽게 번식돼 생겨난 품종으로 추측하고 있으며, 이들은 Chines Li Hua, Chines Li Hua, Dragon Li, Li Hua, Lu Hua Mao, Li Hua Mau 또는 Li Mao등 여러 이름으로 언급되고 있다. 리 와우가 성묘가 되려면 고양이로는 다소 긴 3년 정도 걸릴 만큼 성장 속도가 느린 편이다. 전체적으로 근육질의 탄탄한 체형이며 꼬리는 몸의 길이보다 약간 짧다. 머리 모양은 다이아몬드형으로 귀 사이는 약간 먼 편이며 귀의 모양은 앞으로 살짝 기운 듯 쏠려있다. 아몬드 모양의 커다란 눈은 녹색과 노랑, 갈색이 있으며 녹색의 눈을 가장 좋은 품종으로 생각한다. 털은 짧고 거칠며 황금빛이 도는 갈색에 검은 줄무늬나 표범 무늬, 고등어
【코코타임즈】 셀커크 렉스(Selkirk Rex)는 비교적 우람한 골격에 중간 크기의 고양이. 근육질의 몸을 가지고 있다. 보기 좋은 둥근 형태의 머리 모양이며, 전체적으로 몸의 뒷부분이 약간 치켜 올라간 직사각형의 체형이다. 곱슬거리는 털과 턱수염을 지닌 셀커크 렉스의 빛깔은 실버, 베이지, 라일락, 브라운, 검정, 초콜릿색 등 매우 다양하다. 길이는 단모종과 장모종 두 가지로 나뉜다. 셀커크 렉스는 1987년 미국 몬타나 한 유기동물 보호센터에서 돌연변이로 태어나면서부터 시작된다. 그래서 그 이름도 주변에 있던 셀커크산의 이름을 따서 불리게 되었다. 아메리카쇼트헤어, 브리티시쇼트헤어, 이그저틱, 페르시아고양이 등이 섞였다. 국제고양이협회(TICA)에는 1992년에, 2000년에는 국제고양이애호가협회(CFA)의 공인 받았다. 라펌이나 코니시 렉스 등 짧고 곱슬거리는 털을 가진 다른 고양이들에 비해 장모의 셀커크 렉스 털은 더욱 풍성하고 길다는 특징이 있다. 셀커크 렉스가 성묘가 되면서 곱슬 거리는 털은 직모 형태로 풀릴 수 있지만, 수염은 끝까지 변함없는 곱슬을 유지한다. 장모종 단모종 모두 털 빠짐은 거의 없는 편이다.
【코코타임즈】 1600년대 영국인들이 미국으로 넘어갈 때 선박 안에 있던 쥐를 잡을 용도로 고양이를 데려갔다. 당시 낯설고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살아남은 아메리칸 숏헤어는 지금까지도 건강한 고양이 중 하나로 꼽힌다. 이들은 미대륙 내 고양이들과 함께 지내며 번식하였고, 1900년대 CFA에서 정식 단일 품종으로 인정받았다. 넓은 어깨와 가슴, 다부진 다리를 갖고 있으며 몸통은 짧고 빳빳한 털로 덮여있는데, 털의 색과 무늬는 무척 다양하다. 털이 짧아 관리가 쉽지만, 고양이라는 동물 자체는 털이 많이 빠지므로 주기적으로 빗질을 해 줄 필요가 있다. 코리안 숏헤어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아메리칸 숏헤어의 무늬가 좀 더 굵고 둥근 얼굴을 갖고 있다. 원체 건강하기 때문에 관리를 잘해준다면 오래 사는 편이다. 대체로 이 품종은 성격이 좋다. 너그럽고 태평한 성격을 갖고 있다. 사람과의 친화력이 뛰어나고 아이들과도 잘 어울려 미국에서도 인기가 많은 품종. 일명 ‘무릎냥(애교가 많고 사람을 잘 따라 사람의 무릎에 잘 올라와 쉬는 고양이를 귀엽게 일컫는 말)’ 기질을 보인다. 조용한 편이지만 나이가 들어도 장난기가 많다. 아메리칸 숏
【코코타임즈】 고양이는 쌀쌀맞은 동물이라는 것도 옛말인 듯하다. 요즘은 ‘개냥이’라는 말을 모르는 사람이 없을 정도로이니 말이다. 개냥이는 ‘개’와 ‘고양이’의 합성어로, 마치 개처럼 애교 많고 사람을 잘 따르는 고양이를 의미한다. 국제 고양이 협회인 TICA에 따르면, 몇몇 품종은 다른 품종에 비해서 개냥이 성향이 조금 더 짙다 한다. 이런 고양이에는 어떤 품종이 있고, 이들 반려묘로 맞이할 때 알아야 할 건강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자. #스코티쉬 폴드(Scottish Fold) 스코티쉬 폴드의 트레이드마크인 동글동글한 얼굴과 접혀 있는 귀는 귀여움 그 자체이다. 성격 또한 애교 만점이다. 인간과 교감하는 것을 좋아하고, 대부분 부드러운 성격을 가진 편이다. 적응력이 좋고 다른 동물이나 아이들과도 곧잘 어울린다. 안타깝게도 스코티쉬 폴드는 선천적으로 뼈 연골 형성장애 발병률이 높은 품종이다. 이 질환은 두껍고 뻣뻣한 꼬리, 골격 변화로 인한 비정상적인 걸음걸이, 절뚝임 등의 증상을 보인다. #통키니즈(Tonkinese) 고양이 중에서도 최고의 애교꾼으로 불린다. 그냥 개
【코코타임즈】 러시안블루는 러시아의 서북부 아르한겔스크 지역 유래 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확실치 않다. 아르한겔은 영어로 Archangel(대천사)라는 뜻으로 원래는 아크앤젤 블루(Archangel Blue)라고 불렀다. 러시아 황실 고양이의 후손으로 1860년대 영국으로 건너와 빅토리아 여왕의 애묘가 됐다고 한다. 한때 영국에서 유행하던 프랑스 고양이 ‘샤르트뢰’와 외모가 비슷해서 잡종으로 번졌으나 19세기 말부터 혈통 복원을 통해 오늘날과 같은 외모를 갖게 되었다. 샤르트뢰는 눈 색깔이 대부분 노란 구리색이 많으며 금색과 노란색도 있는데 러시안블루는 성묘의 경우 눈 색깔이 에머럴드 빛 연두색으로 차이가 난다. 체중은 4kg 안팎으로 중형묘이다. 러시아 황실에서 교육을 받은 탓인지 영리하고 조용하며 온순한 편. 우리나라 실내에서 키우기 좋아 국내에 가장 많은 외래품종 가운데 하나이다. 우는 소리가 작은 종으로 유명하다. 집사에게 분위기를 맞출 줄 아는 고양이로 가족과 함께 애정을 나누지만 낯선 사람은 의외로 경계하는 편이다. '샤르트뢰'와 달리 러시안블루는 '네벨룽'(Nebelung)이라는 장모종으로 개량된 사례도 있다. 성격은 러시안블루와 같고 눈 색깔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