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우리나라 반려동물 보호자들이 사랑하는 아이에게 붙일 이름으로 가장 좋아하는 것은 뭘까? 정답은 '코코'다, 그 다음은 '보리'와 '콩이'. 메리츠화재가 반려동물 의료비 실손보험 '펫퍼민트'를 출시한 후 지난 2년간 가입한 강아지 3만여 마리, 고양이 3천여 마리를 조사해보니 이렇게 나왔다. 그 중에서 강아지는 코코(508마리)란 이름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보리(494마리), 콩이(489마리)란 이름도 많이 지워줬다. 또 초코(360마리), 두부(334마리), 호두(289마리)도 많았다. 망고(238마리)도 올해 처음 순위권에 들어왔다. 코코와 보리는 고양이 이름으로도 많았다. 조사한 결과, 코코(43마리)와 보리(39마리)가 1, 2등이었고, 그 뒤를 이어 레오(31마리), 망고(28마리), 콩이(27마리) 등의 순. 특히 망고는 지난해에 비해 순위가 3단계나 올랐다. 개 고양이 할 것 없이 최근들어 '망고'란 이름이 강세란 얘기다.대도시에서 가장 많이 키우는 강아지는 토이푸들 말티즈 포메 등 또 펫퍼민트에 가장 많이 가입한 견종은 토이푸들(5064마리·16.7%)과 말티즈(4984마리·16.5%), 포메라니안(4471마리·14.8%)
【코코타임즈】 메리츠화재가 반려동물 실손보험 '펫퍼민트' 가입자들을 분석한 결과, 반려견은 위장병과 귓병, 피부병 등으로 동물병원을 가장 많이 찾았다.고양이는 눈병, 특히 결막염이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위장병이었다. 하지만 보험금을 가장 많이 타간 건 '슬개골 탈구'였다. 우리나라 대표적인 정형외과 질환으로 꼽히는 슬개골 탈구는 거실 바닥이 미끄러운 탓에 특히 잘 생기는 것으로 알려졌다. 1일 메리츠화재 펫퍼민트 출시 2주년을 맞아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반려견의 보험금 지급건수는 위염·장염(1779건), 외이도염(1677건), 피부염(1437건), 이물섭식(1158건) 순이었다. 특히 작년 순위에 없던 슬개골 탈구 관련 보험금 지급건수가 817건으로 급격하게 증가했다. 메리츠화재 관계자는 "가입 1년 후부터 슬개골 및 고관절 질환에 대한 보장이 개시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반려견의 보험금 지급액은 슬개골 탈구 관련 건이 약 5억5000만원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이물섭식(2억3000만원), 위염·장염(2억원), 앞다리 골절(1억3000만원)등의 순이었다. 메리츠화재는 "소형견 양육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보호자들이 가장 걱정하는 질병인 슬개골 탈구의 발생률 및
【코코타임즈】 우리나라 반려인들이 반려동물에 붙이는 이름 중 가장 많은 것은 '코코'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소형견 '말티즈'가 펫보험에 가장 많이 가입했고, 보험금이 지급되는 항목은 구토-설사-혈변 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메리츠화재는 반려동물 실손의료험 '펫퍼민트' 출시 1주년을 맞아 가입자와 반려동물 분석 통계를 11일 발표했다. 지난해 10월 이후 1만9천여 반려견이 펫퍼민트에 가입했다. 먼저, 가입 반려견 견종은 말티즈(16.9%), 토이 푸들(16.8%), 포메라니안(14.1%) 등이 가장 많았다. 또 이름은 콩이(1.7%), 코코(1.6%), 보리(1.5%), 초코(1.3%), 두부(1.0%)가 보편적이었다. 보험금 지급 건수가 가장 잦았던 사유는 반려견의 구토·설사·혈변(9.3%)이었다. 그 뒤로 위염·장염(5.8%), 피부염(5.2%), 외이도염(5.1%) 순으로 많았다. 하지만 지급액 기준으로는 이물질을 삼켜 위장관에서 제거하는 수술을 받은 쪽(5.7%)이 가장 많았다. 그 뒤로 구토·설사·혈변(5.4%), 위염·장염(5.3%) 순이었다. 보험 계약자 연령은 40대(29.2%), 30대(27.1%), 20대(23.6%) 순으로 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