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입 냄새로 알아보는 고양이 건강
【코코타임즈】 고양이가 건강하다면 입 냄새가 나지 않아야 정상이다. 여기서 말하는 건강은 구강 건강뿐만 아니라 여러 의미에서의 건강을 뜻한다. 물론 사람도 음식을 먹은 뒤에는 입 냄새가 나듯 건강한 고양이도 식후에는 입 냄새가 나지만, 양치질하면 구취는 곧 사라지게 마련이다. 하지만 양치질을 한 뒤에도 냄새가 사라지지 않거나 일반적인 구취와 다른 냄새가 날 때는 여러 가능성을 열어두고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고양이 구취의 원인은? 구강질환이 가장 유력하다. 청담우리동물병원 윤병국 원장은 "손수건 등을 이용해서 고양이 입 주변이나 입안을 훑었을 때, 수건에 냄새가 배 있다면 구강질환으로 인한 입 냄새일 확률이 높다"고 했다. 주로 피 냄새나 고름 냄새, 퀴퀴한 냄새가 나며 입 주위가 침으로 지저분하다. 치석이 심할 때는 스케일링을 받아보는 것도 좋다. 고양이 칼리시바이러스나 고양이 비기관염바이러스 등이나 전신성 질환을 앓고 있는 고양이 역시 구강 내 환경이 악화하기 쉬워 입 냄새가 난다. 당뇨병을 앓고 있어도 입에서 냄새가 난다. 당뇨병이 생기면 체내에 케톤체라는 물질이 생기는데, 이때 케톤체 특유의 새콤하면서도 달콤한 냄새가 나게 된다. 고양이에게 흔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