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COCOTimes)】 반려동물의 질병이나 이상 징후에 대해서는 올바른 전문지식으로 대처하고 전문의에게 치료받는 것이 좋다. 잘못된 상식이나 민간요법이 오히려 동물의 건강을 해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려동물이 구토하는 것과 관련해서 많은 보호자가 잘못 알고 있는 위험한 사실 두 가지를 알아본다. 고양이가 헤어볼 토하는 것은 당연하다? 고양이는 그루밍(자신의 털을 핥는 것)하면서 털을 정리한다. 이 과정에서 죽은 털을 삼키게 되는데, 변과 섞여 나와야 정상이다. 간혹 털을 변으로 배출하지 못할 경우, 소화기관에 남은 털뭉치, 즉 헤어볼을 토해낼 때가 있는데 일부 보호자는 이를 정상적인 구토로 여긴다. 하지만 헤어볼을 토하는 것은 정상적인 모습이 아니다. 또한, 고양이가 헤어볼을 토하면서 설사나 변비를 동반한다면 반드시 병원을 찾아야 한다. 독극물 먹었을 때, 과산화 수소나 우유 먹이면 된다? 동물이 먹어서는 안 되는 것을 섭취했을 때, 과산화 수소를 먹여서 구토를 유도하면 된다는 말이 있는데 사실 이 방법은 권하지 않는다. 임시방편으로 가정 내에서 과산화 수소 등을 먹이고 구토를 유발하기도 하는데, 이 방법을 잘못 사용했다가는 동물을 더욱 위험하게
【코코타임즈】 동물용의약(외)품의 오·남용을 방지를 위해 내후년 1월부터 축산물에도 PLS(허용물질목록관리제도)가 시행된다. 독극물 잔류허용기준이다. 지금은 농산물 먹거리의 안전을 위해 지난 2019년 1월부터 농산물에 대해서만 농약 잔류기준을 정해 이를 관리해왔다. 예를 들어 잔류기준이 별도로 있는 경우는 그대로 적용하되, 잔류허용 기준이 별도로 없는 경우엔 작물에 일률기준(0.01ppm)을 적용한다. 검역본부는 이에 따라 축산물 PLS(Positive List System) 도입을 준비해왔다. 지난 2020년부터 120억 예산을 확보해 PLS가 적용되는 동물용의약품 약 2천500여 품목 중 잔류성 시험자료가 필요한 180개 품목군에 대해 잔류성시험·분석을 진행해온 것. 검역본부는 앞으로 축산물엔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의약품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축산농가에 필요한 동물약품들 중에서 잔류 위반이 발생할 우려가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안전사용기준을 재정비하는 것. 또 검역본부는 3일, 동물용의약품 등 안전사용 방안 모색’을 주제로 '2022년 동물의약연구회 학술 토론회'<사진>를 열어 "잔류허용기준이 설정된 동물약품·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