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안구건조증’은 봄부터 심해진다. 건조한 바람, 황사, 미세먼지, 꽃가루 등으로 우리 눈은 모래가 들어간 듯, 뻑뻑하다. 방치하면 시력이 떨어지고, 각막염과 각막궤양으로 넘어간다. 강아지도 마찬가지. 게다가 8살이 넘어 노령견이 되면 많은 개가 이 병으로 고생한다. 눈 기능에 도움을 주는 눈물샘도, 마이봄샘(meibum)도 탈이 나기 시작하는 때다. 더 큰 문제는 꼭 증상이 심해진 이후에나 알게 된다는 것. “강아지는 ‘안구건조증’보다는 ‘건성각결막염’(乾性角結膜炎)이라 불러야 한다”는 이유다. 강아지 눈을 노리는 이 질환을 '아시아수의안과전문의' 김준영 건국대 수의대 교수에게 물었다. <편집자 주> 왜 그렇게 불러야 하는가? 사람은 눈이 뻑뻑하기만 해도 바로 치료를 시작한다. 당장 일상 생활이 불편하다. 하지만 강아지는 다르다. 먼저, 안구 표면에 있는 감각신경이 사람에 비해 둔하다. 미세한 염증이 생겨도 별다른 반응을 하지 않는다. 회백색의 끈적끈적한 눈곱이 끼고, 충혈에다 각막에 염증과 궤양이 생기고 나서야 보호자들이 알아차린다. ‘증상’ 단계에선 잘 모르고, ‘염증’ 상태가 되어야 치료가 시작된다는 것이 큰 차이다. 건성각결막
【코코타임즈】 개나 고양이의 눈꺼풀과 안구 사이 틈에 작은 지렁이 같은 기생충이 보일 때가 있다. 약간 희거나 투명하며, 눈알 표면 위에서 조금씩 움직인다. '안충'(眼蟲)이라는 기생충이다. 학술적으로는 '동양안충'(Thelazia Callipaeda)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를 비롯, 중국 일본 등 동양에서 잘 나타난다고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멀리 아프리카의 경우, 안충의 일종인 회선사상충에 감염되면 소나 개, 심지어 사람까지 실명에 이르기도 한다. 증상 안충이 생기면 눈이 가렵고, 이물감이 있어 눈을 잘 못 뜬다. 그래서 눈이 늘 충혈돼 있다. 초파리가 날뛰기 시작하는 초여름부터가 발병 시기다. 다만 흔하게 걸리는 질병은 아니라는 점이 그나마 다행. 결막염 치료를 받고 있는데도 증상이 전혀 나아지지 않으면 오히려 안충을 의심해볼 때다. 원인 초파리가 개 고양이 눈에 붙었다가 눈 주위에 알을 부화하며 걸린다. 그래서 산책을 자주 하는 반려견이나 실외에서 생활하는 반려견에게서 발견될 확률이 높다. 안충에 감염되면 염증으로 눈곱이 자주 끼고, 눈물을 자꾸 흘리게 된다. 그게 초파리를 더 끌어들이는데, 초파리가 눈에 접촉하면서 안충이 더 심화되는 악순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