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코타임즈】 보르조이(borzoi)는 러시아의 혹독한 추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그레이하운드에 러시안 쉽도그(sheep dog) 교배로 탄생시킨 품종이다. 콜리와 흡사한 외모를 지닌 것도 그 때문. 러시아어로 '민첩함'을 뜻하는 보르조이는 오랫동안 귀족들에게 사랑받아온 사냥견. 암컷 한 마리와 수컷 두 마리가 한 조가 되어 늑대를 추적하고 공격해서 잡아낼 정도였다. 토끼와 여우 사냥에도 능했다. 보르조이를 사랑했다는 소설가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중에서 러시아 황제 알렉산더 2세가 보르조이를 데리고 사냥하는 장면이 등장하기도 한다. 당시 러시아에서는 보르조이를 외국에 선물로 전하는 관습이 있었다. 미국에는 1889년에 처음 소개됐으며, 그 시절 미국에서는 보르조이를 '러시안 울프하운드'(Russian Wolfhound)로 부르기도 했었다. 늑대 사냥개란 뜻. 귀족의 상징이기도 했던 보르조이는 러시아 전제군주제가 무너지며 함께 몰살당했다. 하지만 그 전에 유럽과 미국으로 건너갔던 보르조이들이 있어 그 혈통을 이어갈 수 있었다. ACK(미국켄넬클럽)에서는 1891년에 독립된 품종으로 공식 인정되었다. 보르조이는 키가 크고 곱슬거리는 털을 가진 우
【코코타임즈】 개와는 다르게 고양이만이 보내는 질병 신호가 있다. 하지만 고양이를 처음 키우는 사람이라면 이 모습을 간과하고 고양이 질병을 악화시킬 수 있다. 미처 몰랐던 고양이의 질병 징후, 무엇이 있을까?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우선, 고양이가 큰 소리로 운다면 청각 등 감각기관에 문제가 생겼다는 뜻이다. 입 주변을 제외한 다른 곳이 지저분해졌다면 관절염과 구내염을 의심해봐야 한다. 앞다리를 O자로 둥글게 구부리고 입을 벌리고 앉아 있다면 호흡 곤란 상태이다. 이때는 매우 위급한 상황이다. 얼굴을 스스로 때리고 갑자기 사나워지기도 했다면 구강 질환이 생겼다는 뜻이다. 통증에 시달리는 고양이가 예민해져서 공격성을 띠는 것이다. 고양이에게서 흔히 발생하는 전염성 질환에 노출됐을 경우에는 눈 주변에 눈곱이 많아진다. 그루밍을 심하게 하는 것 역시 질병에 대한 징후일 수 있다. 캐비어 동물병원 권영항 원장은 “반대로 고양이가 기지개나 스크래치, 그루밍을 하지 않으면 이 역시 건강에 대한 이상신호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잇몸이 붉고 남새 난다?”… 치주질환(Period
【코코타임즈】 고양이는 친밀한 사람이나 동물에게 그루밍(grooming)을 해주곤 한다. 하지만 고양이에 대해 잘 모르는 초보 집사는 고양이가 핥아주면 깜짝 놀랄 수 있다. 고양이 혀가 생각보다 거칠거칠하기 때문이다. 고양이 혀에는 가시 같은 돌기 수백 개가 나 있는데, 크기는 0.5mm가량이다. 혀의 중앙 부분에 분포해 있으며, 뒤쪽 방향으로 돌기가 나 있다. 그루밍을 하거나 옷가지를 핥으면 사포로 긁는 듯한 소리가 나는 이유도 돌기가 있기 때문이다. 사자나 호랑이 혀에서도 돌기를 발견할 수 있다. 그런데 돌기가 거칠거칠하고 딱딱한 이유는 바로 '케라틴'이라는 성분 때문. 케라틴은 손·발톱이나 머리털, 깃털, 뿔 등을 구성하는 단백질이다. 그렇다면 돌기는 어떤 용도로 사용할까?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결론부터 말하면, 고양이 혀에 있는 돌기는 그루밍할 때 빗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즉 마찰력을 만들어 그루밍 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또 다른 용도는 사냥감을 잘 붙잡아 두거나 고기를 잘 발라 먹을 수 있도록 돕는 것. 하지만 맛을 느끼는 역할을 하진 않는다.
【코코타임즈】 잉글리시 세터(English Setter)는 스파니엘과 스패니시 포인터 등을 교배시켜 1400년경 탄생한 품종. 하지만 영국 귀족들이 1800년경 몇 번의 동종 교배를 통해 조금 더 세련된 모습으로 완성했다. 유전적으로 결막염, 각막염, 백선, 관절염 등에 잘 걸린다. 세터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냥터에서 사냥감을 발견하면 몸으로 사냥감의 위치를 알려준다. '잉글리시 포인터'와 함께 2대 사냥견으로 알려져 있다. '사냥견 계의 귀공자'라는 별칭이 있으며, 물장난과 수영을 좋아해 육지건 물가건 가리지 않고 사냥감을 회수하는 조렵견으로 매우 뛰어난 능력을 갖추고 있다. 넓은 사냥터를 뛰어다니다 세력권에서 벗어나면 멀리까지 가버리는 습성이 목양견 '콜리'와 비슷하다. 즉 귀소본능이 적고, 낯선 사람을 꺼리지도 않아 아무나 끌고 가면 그대로 따라가게 될 수도 있다. 그래서 어려서부터 주인 부름에 즉시 돌아올 수 있는 훈련을 확실히 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AKC(미국 켄넬 클럽)에는 1884년에 공식인정 되었다. 세터 품종의 특성상, 넘치는 활동성 때문에 온 집안을 돌아다니며 장난치기를 좋아한다. 길고 부드러운 털은 곱슬거림이 없이 곧은 편.
【코코타임즈】 눈 밑이 붓거나 염증이 생겼다면 안과 질환이 아닌 치과 질환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치근단 농양'이 그 원인일 수 있기 때문. 치근단 농양은 치아 뿌리에 염증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구취가 나고 개가 밥을 잘 먹지 못하거나 입 주변을 심하게 아파하는 모습을 보인다.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이를 뽑아야 한다. 그런데, 이빨 문제라면서 왜 눈 밑이 부을까? 유석동물병원 이현하 원장은 “치근단 농양은 어금니나 송곳니 위아래 어디에서든 발생할 수 있지만 가장 흔한 부위는 어금니"라고 말했다. 그중 윗어금니 뿌리는 눈 밑에 있다. 치근단에 문제가 생길 경우, 눈 주위가 부어 보이는 것. 반면, 아랫 어금니에 치근단 농양이 생길 경우에는 턱이, 윗 송곳니에 문제가 생길 경우에는 콧구멍 부근이 붓거나 고름이 생긴다. 한편, 털이 많으면 발견이 어려워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다. 이때는 피부를 뚫고 고름이 터지기도 한다.
1930년 아시아 미얀마에서 미국으로 건너간 '웡 마우'라는 갈색 고양이와 샴고양이의 교배로 탄생한 종이 '아메리칸 버미즈'다. 즉 미국에서 태어난 버마 고양이란 뜻. 일반적으로 '버미즈'라고 줄여부른다. 그런데 1960년대 들어 영국으로 건너가게 됐고, 빨간색 포인트가 있는 샴고양이와의 교배로 다시 탄생한 품종이 바로 유러피안 버미즈(European Burmese). 유러피안 버미즈는 미국 버미즈에 비해 더 다양하고 부드러운 털 색상을 갖고 있다. 외관상 일반 버미즈가 부드럽고 둥글둥글한 느낌을 주는 반면, 유럽 버미즈와는 달리 날렵하고 슬림한 몸매를 가지고 있다. 1994년 CFA(Cat Fanciers Association)에서도 아메리칸 버미즈와는 다른, 독립된 품종으로 인정받았다. 실제로 유러피안 버미즈는 갈색, 초콜릿색, 파란색, 라일락, 붉은색과 크림 등 더욱 다양하고 화사한 색상을 갖고 있는데다 거북이 등껍질 무늬까지 가지고 있다. 같은 선조의 고양이치고는 아메리칸 버미즈와 외관상 차이가 많은 편이다. 유러피안 버미즈는 우아한 몸매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근육질 체형이어서 생각보다 무겁다. 이처럼 유러피안 버미즈는 대체로 건강한 편이지만 태생
【코코타임즈】 적정 산도 유지는 건강한 피부를 위해서 무척 중요하다. 피부장벽을 튼튼하게 유지할 수 있게끔 돕기 때문이다. 산도는 pH(산도 측정 수치)값이 낮을수록 산의 세기가 강하고, 높을수록 산의 세기가 약하다. 사람 피부와 고양이 피부 산도는 어떨까? 일반적으로 사람 두피는 pH 4.8~5.0 정도를 유지한다. 성인 피부는 pH 5.0~5.5, 어린 아이 피부는 pH 6.5 가량이다. 고양이 피부는 pH 6.2~7.2 사이다. 이처럼 사람 피부에 고양이 피부는 적정 산도가 다르기 때문에, 사람용 비누나 샴푸가 순하다고 해도 고양이에겐 자극적일 수밖에 없다. 또한, 고양이 피부층은 사람보다 절반 이상 얇고 약하다. 미국의 스테파니 아널드 수의학 박사(Stephanie Arnold, DVM, MPH.)는 "고양이에게 사람용 비누나 샴푸로 목욕을 시키는 것은 피부 산성도를 깨뜨리는 행위"라고 했다. 박테리아나 곰팡이, 기생충, 건조증, 홍반, 가려움증 등 각종 피부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동물을 씻길 때는 반드시 동물 피부에 맞는 전용 샴푸를 사용하고, 피부 질환을 앓고 있다면 상태에 따라서 약용(藥用) 샴푸를 사용
【코코타임즈】 흔히 "고양이는 단맛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고양이도 단맛을 느낄 수 있다"고 말한다. 과연 어떤 말이 맞는 것일까? 기본적으로 고양이는 육식동물이기 때문에 에너지원을 주로 단백질이나 지방에서 얻었다. 그래서 오랜 기간, 그런 특성에 맞게 진화해왔다. 단맛이 나는 과일 등에서 에너지원을 얻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맛에 대한 미각이 발달할 필요도 없었기 때문이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반대로 쓴맛이나 신맛에는 무척이나 예민하게 반응한다. 신 음식을 고양이에게 내밀면 헛구역질을 하거나 도망가는 등 상당히 꺼리는 모습을 보인다. 쓴맛과 신맛에 예민하게 반응하는 동물은 고양이뿐이 아니다. 미국 필라델피아 '모넬화학감각센터'(Monel Chemical Senses Center) 연구결과에 따르면, 고양이를 비롯한 대다수 동물이 쓴맛에 민감하다고 한다. 쓴맛을 느끼는 미각 수용체가 사람보다 많기 때문이다. 고양이에게 있어서 쓴맛은 상한 육류에 있는 아미노산(아르지닌, 트립토판)에서 느낄 수 있는 맛이다. 강한 신맛 역시 비슷한, '독성' 물질임을 뜻한다. 즉, 신맛이나 쓴맛이 나는 것을 '썩은 먹이'로 인식하고 본능적으로 피
【코코타임즈】 어느 날부터인가 벽만 쳐다보고 있는가 하면, 허공만 멍하니 바라보고 있는 개. 어떤 이유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나이도 많이 들어 예전과 다른 모습을 조금이라도 보일 때면 걱정부터 앞선다. 개가 멍한 모습을 보이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국애견협회(AKC)를 통해 알아본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인지기능 장애증후군 (치매) '인지기능 장애증후군'은 쉽게 말해 '치매'라고도 한다. 동물이 여기 걸렸을 때 나타나는 증상은 다양한데, 한꺼번에 나타나기보다는 하나둘씩 천천히 드러난다. 별다른 이유 없이 벽을 응시하고 있거나 허공을 바라보며 짖는다. 보호자가 불러도 아무런 반응도 보이지 않는다. 사회성이 낮아져 혼자 있으려 하거나, 밤낮이 바뀐다. 식욕이 갑자기 왕성해지거나, 반대로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 잘 하던 배변에 실수를 하기도 하고, 공간 지각능력이 낮아져 어딘가에 잘 부딪히거나 잘 넘어진다. 원을 그리듯 빙글빙글 걷는 것도 증상의 하나다. 경련 전조증상 건국대학교 부속 동물병원 한현정 교수(응급의학과)는 “멍하니 벽이나 허공을 보고 서 있거나 침을 과하게 흘리는 것, 또는 안절부절 못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 등이 경련이 일어나기 전 보
【코코타임즈】 우리는 보통 어이없는 이야기를 들으면 "개 풀 뜯어 먹는 소리 한다"라고 한다. 육식동물인 개가 풀을 뜯어먹을 리가 없기 때문이다. 엉뚱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자연에서 생활하던 개들은 종종 풀을 뜯어 먹는다. 초식동물이 아니기에 풀을 주식으로 삼지는 않았지만, 몸에 이상이 생기면 풀을 섭취해 자연 치유를 하곤 했다는 것. 충현동물병원 강종일 원장은 "개는 영양분이 부족한 상태이거나 통증이 있으면 본능적으로 풀을 먹으려 한다"고 말했다. 풀에는 미네랄이 다량 함유돼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위에 염증이 있거나 가스가 많이 찼을 때, 또 배탈이 났거나 속이 더부룩할 때도 풀을 먹는다. 이럴 때는 씹어먹기보다는 한입에 꿀꺽 삼켜버리는 경우가 많다. 그러곤 얼마 지나지 않아 풀과 함께 음식물을 게워내고 스스로를 치료한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그렇다고 공원이나 산책로에서 개가 풀을 먹고 있다고 구경만 하고 있을 수는 없다. 풀에 다른 동물의 오물이 묻어 있다면 전염병에 걸릴 수도, 혹시 살충제가 뿌려져 있다면 먹는 즉시 치명타를 입을 수 있다. 개가 산책 도중에, 혹은 집 안에서 화초를 먹으려 한다면 아픈 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