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와 함께 있으면 ‘긁적’… 개도 고양이 알레르기 겪는다?

  • 등록 2021.02.17 11:00:53
크게보기

 

 

【코코타임즈】 사람 중에 고양이 알레르기를 겪는 경우가 적지 않다. 고양이를 만지거나 같은 공간에 있으면 눈이 빨개지고 콧물이 나는 식이다.  

 

고양이의 비듬, 침 등에 있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이 개에게서 나오는 알레르기 유발 물질보다 증상을 더 세게 유발해 개 알레르기보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흔하다. 

 

그런데 사람이 아닌 개도 고양이 알레르기를 겪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미국 반려동물 전문매체 <펫엠디>(PET MD)에 따르면 반려동물 헬스케어 플랫폼 '퍼지 펫 헬스'(Fuzzy Pet Health) 설립자인 수의사 로버트 트림블(Rober Trimble) 박사는 "개가 고양이 알레르기를, 고양이가 개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COCOTimes

 

 

 

개가 알레르기를 겪는다는 알려주는 대표적인 신호는 몸을 긁는 것이다. 트림블 박사는 "사람은 알레르기 증상이 눈, 코 등에서 쉽게 보이는데, 개는 피부 가려움증으로 가장 잘 나타난다"고 말했다. 

 

털이 없는 발바닥, 눈과 입 주변, 배에 주로 생긴다. 털이 없어 피부가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잘 노출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고양이와 함께 있던 개가 ▲자다가 가려움 때문에 깨거나 ▲노는 것을 갑자기 멈추고 피부를 긁거나 ▲사료를 먹다가 멈추고 몸을 긁으면 알레르기를 의심해봐야 한다.  

 

개가 몸을 긁게 놔두면 피부에 세균이나 진균 감염이 일어날 수 있다. 귀를 긁으면 귀에 감염이 생기고, 피가 고이고, 주변 털이 빠지기도 한다.  

 

고양이 알레르기인지 아닌지 의심되면 병원에서 검사를 받아보면 된다. 고양이 알레르기가 맞다면 진공청소기로 집을 자주 청소해 바닥에 떨어진 고양이 비듬을 최대한 빨리 치워야 한다. 

 

고양이의 알레르기 유발 물질은 공중에도 보이지 않게 떠다닌다.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거나 자주 환기를 해 공기를 깨끗하게 유지시키는 것도 중요하다.  

 

관련기사

 

털 없는 고양이 키우면 알레르기 걱정 없나? 바로가기

 

코코타임즈 gspark@cocotimes.kr
Copyright © 코코타임즈. 무단 복제나 배포 등을 금합니다.


제호: 코코타임즈(COCOTimes) | 인터넷신문 | 회사명 (주)엠비씨이코노미 | 등록번호: 경기, 아53676 | 등록일: 2019.04.04 | 회장:이규봉| 발행인·편집인: 이규봉 | 발행일: 2019.04.04 사업자등록번호 529-86-02027 | 수원본사:경기도 수원시 청명남로30,거성빌딩 | 용인본사: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기흥ICT밸리 A동2001호 | 전화 : 031-217-1717 | 팩스031-211-1719 |코코타임즈(COCOTimes)의 모든 컨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Copyright 코코타임즈 | Corp. All rights reserved.